Post

github 블로그: 카테고리와 태그 설정하기

자. 지금까지의 포스트를 읽은 당신은 jekyll chirpy 테마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전부 마쳤다.
그렇게 들뜬 마음으로 첫 포스트를 쓰기 시작한 당신은 뭔가 이상한 점을 맞닥뜨린다.
제목, 날짜, 카테고리,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모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Front Matter라는 개념을 배우고 태그와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것을 배워본다.

Front Matter

Front Matter를 인터넷에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Front-matter is a block of YAML or JSON at the beginning of the file that is used to configure settings for your writings.
Front-matter is terminated by three dashes when written in YAML or three semicolons when written in JSON.

간단히 설명하자면 YAML이나 JSON 형식의 Meta Data 라고 할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가 하는 일은 간단하다. 제목, 날짜, 태그, 카테고리.. 그 외에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드가 있다.

그럼 이 front matter는 어떻게 설정하는 것일까?

1
2
3
4
5
6
---
title: "your title"
date: YYYY-MM-DD
categories: [category 1, category 2]
tags: [tag 1, tag 2]
---

이런 형태의 포맷을 포스팅하려는 마크다운 파일 가장 위에 붙이면 된다.

그럼 끝이다!

라고 하기엔 여러분은 아직 궁금한게 있을 것이다.
바로… ‘카테고리나 태그는 어떻게 써야하는지’ 이다…

Category와 Tag

두 개의 개념을 잘 아는 사람도 있을거지만 아닌 사람들도 제법 있을 것이기에, 먼저 구글링을 통해 두 용어의 의미상 차이를 알아보자.

1
2
3
4
5
6
7
8
9
카테고리(Category)
-  콘텐츠를 넓은 주제별로 그룹화하는 분류이다.
-  보통 한 사이트(블로그 등)의 전체적인 구조를 결정짓는 기본 분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  예: IT, 여행, 음식, 영화 등

태그(Tag)
- 콘텐츠의 구체적인 키워드 혹은 속성을 나타낸다.
- 특정 글이나 콘텐츠의 세부 주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예: Python, 맛집, 런던, 카페, 다이어트 등.

이렇게 보면 감이 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니 다음 표를 보자

속성categoriestags
구조계층형 (구분 구조)비계층형 (자유 키워드)
사용 목적콘텐츠 분류 / 섹션 구분내용 설명 / 연관 키워드 검색용
URL 생성/categories/이름//tags/이름/
일반 수적고 고정됨 (예: 5~10개)많고 자유롭게 붙임 (예: 수십~수백 개)
시각적 UI메뉴, 사이드바, 페이지 분류태그 클라우드, 관련 포스트 필터

jekyll은 이러한 형태의 카테고리와 태그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약간 귀찮은 것이, 카테고리는 순서를 지켜야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Trending Tags